• 이야기이야기
  • 소통소통
  • 서비스서비스
  • 소개소개
소개
  • 소장인사말소장인사말
  • 해담은사람들해담은사람들
  • 사업방향 & CI사업방향 & CI
  • 해담은기술력해담은기술력
  • Contact usContact us
다가올 통일시대, 한반도 에너지 자립의 꿈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장려책이 속속 발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양광 사업은 부지선정도 어렵고, 개발행위도 쉽지 않고,
무엇보다 민원해결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이 모든 난관을 뚫고 사업을 성사했을 때의 열매는
다른 어떤 사업에 뒤지지 않을 만큼 탐스럽고 풍성합니다.

그동안 사소한 문제 때문에
태양광발전 사업실패로 힘들어 하시는 분들을 지켜보면서
아무도 들려주지 않았던 진짜 태양광 이야기
해보고 싶었습니다.

해담은연구소는 솔라팜 특허를 포함한
태양광발전과 관련된 기술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발전수익의 극대화와 인근 주민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상생의 방안을 함께 모색하고자 합니다.

또한 여러 협력사들과 함께 더불어
수익을 공유하는 정책을 펼칠 것입니다.
그리고 기술개발의 종착지는
저 북녘땅을 밝히는 데 사용될 것입니다.

앞으로 반드시 다가와야 하는 통일시대를 맞이하여
해담은 연구소는 한반도 에너지 자립의 꿈을 키우며
한걸음 한걸음씩 묵묵히 한길을 걸어가겠습니다. 연구소장 김승 북한학박사/건국대 겸임교수

주요경력

2016.9 - 현재해담은연구소 소장
2016.3 - 현재영화진흥위원회 객원연구원
2011.9 - 현재건국대학교 겸임교수
2000.3 - 현재(주)예인미디어 대표이사

前 해외합작법인 Silkroad Yeinmedia LLC CEO
前 북한연구학회 대외협력이사
前 인문콘텐츠학회 산학협력이사

2016한국산업안전공단 외국인 근로자용 시청각미디어 제작용역 책임PD
2015한국콘텐츠진흥원 다큐멘터리 프로덕션 장수상회 책임PD
2014SBS서울방송 특집 다큐멘터리 이영애의 만찬 VFX 제작용역 PM
2013MBC문화방송 다큐멘터리 세상의 모든 부엌 외주제작 책임PD
2012EBS교육방송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자본주의 1,3,5부 외주제작 책임PD
2011CBS기독교방송 더바이블 DVD프로젝트 제작용역 PM
2010교육부 초등학교 국어 디지털교과서 제작용역 PM
2009한국전파진흥원 해외한국어 방송지원 영상물 재제작 제작용역 PM
2008청와대미디어 정책보고서 “대한민국 정책을 말한다” PM
2007항공우주연구원 ‘우주와 과학이야기’ 대국민 미디어홍보 용역 PM
20065.18기념재단 검정고무신과 함께하는 ‘기영이의 5.18’ 미디어제작 책임PD
2005LG전자 LG Electronics PR Film 외 2종 제작용역 연출
2004중앙선거관리위원회 알기쉬운 선거관리 광미디어 매뉴얼 제작용역 PM
2003경찰청 기본에 충실한 국민의 경찰 영상물 제작용역 연출
2002전북도청 아름다운 전북관광 홍보영상물 연출
2001한국산업인력공단 직업훈련용 귀금속 가공 등 4편 비디오제작용역 연출
2000한국도로공사 시공과정 PR Film 제작 용역 연출

주요 수상실적

2017 ICAS 우수 학술도서를 선정
International Convention of Asia Scholars: ICAS


ICAS 우수 학술도서상은 아시아 관련 학술출판에 세계가 관심을 갖게 하고, 이를 통해 아시아관련 학술서적이 널리 알려지게 하려는 목표를 갖고 2004년에 시작되었습니다. 현재까지 ICAS 우수 학술도서상은 영어로 출간된 책들만을 대상으로 했지만, 2017년부터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두 영역에서 중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그리고 한국어로 쓰인 아시아관련 우수 학술도서에 대해서도 시상했습니다.

2017ICAS 아시아연구 한국어 우수 학술도서상
2016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감사패
2015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상(최우수논문상)
2011근이영양증환우보호회 감사패
2005국민일보 휴먼브랜드 수상

논문 소개

김정은 시대 기록영화의 지속과 변화 (현대북한연구)
북한 기록영화 연구: 영화문헌의 의미생성 구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 기록영화에서 조형된 집단적 마음: <내조국 빛내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북한 기록영화의 서사구조에 내재된 이데올로기 분석(통일연구)
북한 기록영화의 서사구조 특성과 변화(문학과영상)
탈북을 다룬 다큐멘터리의 의미전달 체계: <천국의 국경을 넘다>를 중심으로(한국문화기술)
북한 기록영화 <38선>의 영상기호 분석(통일인문학)
북한 기록영화에 재현된 열병식의 의미생성 구조: <백승을 떨쳐온 무적의 열병대오>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북한연구학회보)
북한 기록영화의 의미 체계: <계승자들>에 대한 표상요소 분석을 중심으로(영상예술연구)
북한 기록영화의 통사(通史)적 접근: 정치·사회적 맥락을 중심으로(현대북한연구)
다큐멘터리 영화의 재현성과 정치성 (문학과 영상학회 가을 학술대회)
북한 기록영화의 표상요소 분석 (광복40주년기념 북한프로젝트 연계 학술심포지엄)
북한 기록영화의 의미체계 연구 (영상예술학회 춘계학술대회)
북한 기록영화의 의미구조 및 이데올로기(북한연구학회 하계학술회의)
북한 기록영화의 장르적 특성 연구: ‘주체의 기록영화이론’을 중심으로(문학과영상)
북한 기록영화의 영상재현과 이데올로기 특성(기호학연구)
북한 기록영화의 기호학적 분석 (북한연구학회 춘계학술대회)
분단의 감성: 이미지와 서사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전국학술대회)

저서 소개

북한 기록영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낯선 세상을 바라보는 데 유용한 것은 창이다. 북한 기록영화는 북한 당국의 의도를 표출하는 공식적 창의 하나로, 북한과 같은 닫힌 국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 책은 한국 영화 중 북한 기록영화라는 빈 공간을 메우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북한의 기록영화가 가진 고유한 특성과 역사에 대한 기본 이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북한 기록영화의 독특한 이론 체계를 살피고 통사적 관점에서 북한의 기록영화가 정치사회적 맥락에 따라 어떤 역할과 기능을 했는지 고찰한다. 이러한 시도는 북한 기록영화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궁극적으로 북한 체제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북한 기록영화, 그 코드를 풀다, 한울아카데미, 2016.

ICAS 아시아연구 한국어 우수 학술도서

북한 기록영화에 대한 면밀한 분석서. 북한은 정권 초기부터 비교적 소자본으로 제작할 수 있는 기록영화, 즉 다큐멘터리를 선전.선동 수단의 하나로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이런 북한 기록영화에 내포된 다양한 코드와 그것이 겨냥하는 제작의도 등에 깊은 관심을 두고 북한의 수많은 기록영화를 입수해 분석해온 저자 김승은 북한이 기록영화를 통해 구체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영상기호학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을 오래전부터 수행해왔다.

저자의 이런 작업 끝에 수많은 북한 기록영화 중 시기별 대표작 네 편을 추려 실제 북한 기록영화에 어떤 영상구성요소가 얼마나 삽입되었고, 그것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으며 시기별 편집기법은 어떤 차이를 보여왔는지를 분석한 결과를 엮은 책이다. 이는 ‘북한 기록영화’를 예술 장르의 하나로 분류해 접근한 최초의 시도라고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우리는 북한을 읽는 ‘또 하나의 창’을 얻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