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야기이야기
  • 소통소통
  • 서비스서비스
  • 소개소개
  • 소통
    해담은연구소는 고객님의 성공을 응원합니다
  • HOT NEWSHOT NEWS
  • 공지사항공지사항
  • 자주묻는 질문자주묻는 질문
  • 자료실자료실
자주묻는 질문
  • 1. 간단하게 태양광발전 수익률을 계산하는 방법
  • 태양광 발전사업의 사업수지 분석의 첫 단계는 발전량을 산출하고 수익률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일조시간은 3.4시간이기 때문에 100KW 발전시스템 설치 시 99KW *3.4H = 337KW가 됩니다. 연발전량은 365를 곱하면 됩니다. 수익률 계산은 예상 발전량에 SMP와 REC 단가를 입력하신 후 사업부지의 가중치를 입력하면 수익률을 간단히 구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 마지막으로 관리비 항목을 입력하셔서 수익에서 차감하시면 됩니다.

    태양광 발전 사업 수지 분석(간편식)

    발전량 산출
    발전용량(kw) 발전시간(h) 발전일수(일) 총발전량(kw) 월발전량(kw)
    99 3 365 122,859 10,238

    수익률 계산
    발전량 SMP REC
    REC 입찰단가 가중치 REC 합계
    122,859 80 130 1.2 156
    총 매전단가 총수익 월수익
    236 188,994,724 2,416,227

    관리비 항목
    안전관리비 인터넷비용 보험료 합계
    50,000 20,000 50,000 120,000

  • 2. 가중치 체계가 궁금합니다.
  • 태양광발전사업의 전력 발전량은 공급인증서(REC)의 가중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발전사업의 사업부지는 태양광발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토지형, 건축물형, 수상태양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태양광발전의 가중치 분류는 다음 표와 같습니다.
    가중치 설치유형 세부기준
    1.2 일반부지에 설치하는 경우 100kW 미만
    1.0 100kW 부터
    0.7 3M 초과부터
    1.5 건축물 등 기존 시설물을 이용하는 경우 3M 이하
    1.0 3M 초과부터
    1.5 유지의 수면에 부유하여 설치하는 경우

  • 3. 어떤 태양광 모듈을 선택해야 하나요?
  • 태양광 발전 설비 중에서 가장 선택하기 어려운 것이 단결정으로 할 것이냐, 다결정이냐 일 것입니다. 결론부터 얘기드리면, 소비자의 선택사항이기는 하지만 굳이 다결정을 회피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단결정은 12-19%의 출력 효율을 가지고 있으며, 다결정은 10-15%의 효율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의 효율차이는 단결정이 다결정에 비해 1-2%의 효율이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단결정은 다결정에 비해 다소 높은 효율성을 지니고 있지만 단가가 높아서 불필요한 예산이 들 수 있습니다. 다결정의 효율이 떨어지는 점은 결국 부지를 1-2%정도 더 확보하면 해결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모듈 선택은 사업부지가 협소할 때는 단결정으로, 부지 확보가 비교적 용이할 때는 다결정으로 하면 될 것입니다. 다결정 모듈의 성능보증도 평균 20년을 보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예비 발전사업자들은 모듈의 효율에 크게 현혹되지 말아야 합니다. 고가로 제안되는 국산 단결정 모듈 + 외국산 인버터의 조합에 대해 진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 4. 적절한 모듈의 경사각은 몇 도인가요?
  • 모듈의 경사각은 30도가 평균값입니다.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하는 경우 10도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며, 향에 따라 최고 45도까지 변경할 수 있습니다. 30도를 기준으로 모듈의 경사가 10도씩 변경될 때 마다 발전량은 약7% 내외로 줄어듭니다. 이론상으로 최적 각도는 37도, 이격거리는 2.6배, 구조물 높이는 냉각을 고려해서 충분히 지면과 이격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이 부분이 시공사와 마찰이 발생하는 지점입니다.


  • 5. 인버터는 어떤 제품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나요?
  • 인버터는 발전설비 중 가장 고장이 빈발하기 때문에 제품 선정에서 구성까지 신중에 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예전에는 외국산 인버터의 성능이 월등히 우수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현재는 국산 제품도 성능이 많이 향상됐기 때문에 굳이 외국산 인버터만을 고집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초기 제품가 보다는 AS망과 서비스 보증기간이 더 중요합니다. 값싸게 제품을 구매했더라도 추후 유지보수 비용이 만만치 않게 들 수 있습니다. 인버터의 구성은 중앙집중식으로 할지, 분산형으로 할 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중앙집중식은 유지보수의 횟수가 줄어들고 효율이 조금 높을 수 있지만, 인버터의 오작동 시 발전량이 0이 되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이에 비해 분산형은 기동전압이 낮아서 흐린 날에도 발전할 수 있어서 발전효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급적 무변압기형을 선정하며 변환효율이 높고 무상 유지보수기간이 긴 제품을 선택해야 할 것입니다.


  • 6. 태양광 발전사업의 성공 비법은 무엇인가요?
  • 태양광사업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부지선정도 어렵고, 개발행위도 쉽지 않고, 경쟁도 치열합니다. 무엇보다 민원해결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이 모든 난관을 뚫고 사업을 시작했을 때의 열매는 탐스럽고 풍성합니다.

    태양광 발전의 성공비법은 무엇보다 속전속결에 있습니다. 태양광발전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정책은 자주 바뀌기 때문에 시작 시기를 늦추면 늦출수록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사업 준비를 꼼꼼히 준비하시되, 결심이 섰을 때는 망설이지 마시고 힘있게 추진해야 합니다. 그리고 사업을 순차적으로 추진하지마시고 동시다발적으로 추진하시는 것이 핵심중의 핵심입니다. 즉, 발전사업 허가를 내시고 다음 단계를 기다리시는 것이 아니라 인허가에 필요한 환경영향 평가와 개발행위 업체 선정 등 다음 단계를 미리서 준비하셔야 합니다. 내가 시간을 줄이지 못하면 다른 사업자가 한전 선로를 확보하게 됩니다. 명심하십시오. 태양광발전 사업은 너무나 경쟁이 치열한 시장이기 때문에 속전속결로 업무를 추진해야 합니다. 필요하다면 다소 비용이 들더라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속하게 업무를 추진하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공부하시는 것은 좋지만, 공부하다가 기회를 영영 놓칠 수 있습니다.